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기획연재 기획취재

[기획]농촌의 가치, 치유농업에서 찾는다 7회

최성고 기자 입력 2015.12.09 09:21 수정 2015.12.09 09:21

7회 벨기에의 치유농업 현황

게재순서
1회 국내 치유농업의 현주소와 우리고장의 실태
2회 치유농업, 상처를 어루만지다 : 청주성신학교의 치유농업
3회 경북 경산시 예비사회적기업 원예치료센터 '뜨락'
4회 강원도농업기술원의 치유농업지도자 과정과 사례 (무릉도원, 달래촌, 채림효원)
5회 네덜란드의 치유농업 현황
6회 독일의 치유농업 현황
7회 벨기에의 치유농업 현황
8회 농업+치유+α=치유농업 : 치유농업 발전 가능성 모색

↑↑ 윌리엄 롬 바운트
ⓒ 성주신문

↑↑ 벨기에 치유농장
ⓒ 성주신문

ⓒ 성주신문

ⓒ 성주신문


 #벨기에의 치유농업은?

 벨기에의 치유농업은 농업과 사회복지가 결합한 성격으로 공공성격에 민간경영기법을 도입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요양기관 등 시설에 입소한 환자들에 대한 부담보다는 치유농장이 저렴해 사회적 복지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치유농업에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벨기에 정부는 현재 치유농장에 지원하고 있는 형태를 벗어나 앞으로 대상자에게 직접 지원하고 대상자가 치유농장에 비용을 직접 지불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벨기에는 2003년 처음 치유농업을 도입했을 때 46개소에 불과했으나 불과 11년 만인 2014년 807개로 급증했다. 이 같은 배경은 정부가 치유농장에 보조금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며, 특히 그린케어협회가 발족하면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치유하기 위한 녹색환경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그린케어(Green Care)라고 하는데 벨기에는 사회복지를 접목한 지원센터인 그린케어협회를 통해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벨기에 그린케어 치유농장은 혼합, 원예, 축산, 낙농, 과수, 묘목, 육종, 말(승마) 등 각 분야별 농장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 농장들은 대부분 도시에서 떨어져 있다.

 그린케어의 대상을 보면 비행 청소년 등 학생(12~18세)이 45%로 가장 많으며 스포터센터, 농장, 학교가 가장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유럽에서는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회복지기관의 개입은 치유대상이 농장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농장주도 치유분야에 전문가가 아니어서 사회복지기관이 치유를 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제공해 줌으로써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케어 협회 윌리엄 롬 바운트(49) 씨는 "농장도 환자를 치유하는 곳이며, 사회복지기관도 이와 마찬가지다. 서로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농장이나 기관이 함께 계획을 세우고 업무를 해야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농장과 기관이 서로 합법적 규정을 정해 놓고 있는데 이는 환자에 대한 서비스질 관리를 위해서다. 농장이 갖고 있는 장점과 기관의 장점을 접목해 질을 향상시키고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덜란드는 그룹별 치유를 하고 있는 형태인데 반해, 벨기에는 1대1일 치유를 더 중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관리 소홀을 우려해서다.

 윌리엄 롬 바운트 씨는 "벨기에는 농장에 1명씩 보내는 1대1 치유를 고수하고 있는데 2명일 때는 부부가 케어를 같이 해야 한다"면서 "이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환자들의 돌발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또 "인원이나 수준 등 농가마다 상황이 달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지원체계를 갖고 가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 농가들이 시설을 보충하고 재투자를 위한 소득까지 올려야 하는 과제를 풀어나가고, 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게 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며 "농장주 간에 의견교환 등 새로운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했다.

 벨기에 정부는 치유환자들을 받고 있는 농가에 환자 1인당 풀 데이(6시간 기준)는 40유로, 하프 데이(2시간 기준)는 20유로를 직접 지원하고 있으며, 점차 환자들에게 직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있다. 이외 농가가 치유환자들을 위한 시설을 설치할 때 전체 예산의 28%를 시설개선비 명목으로 지원하고 있다.
 
 #벨기에 그린케어 지원센터(SCGC)의 역할?

 벨기에 그린케어 지원센터(SCGC : Support Centre for Green Care)는 농민단체들이 만든 조합형태의 기관이다. 농장주들이 참여해 만든 협회가 치유농업을 주도하고 있는 네덜란드와는 달리 농민단체들이 조합을 만들어 주도적으로 그린케어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센터는 농민과 복지기관의 가교역할을 하며 치유환자와 농민 간 수요공급 연결, 교육 및 정보제공, 치유지식연구 등을 주 업무로 하고 있다. 센터는 농민협회 1/4, 사회복지부 1/4, 주정부 지원 1/2의 부담으로 운영되며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적 위치에서 활동하고 있다.

 윌리엄 롬 바운트 씨는 "독일의 치유농업이 부진한 이유가 농민단체와의 협력이 없기 때문"이라며 "주도권을 농업이냐, 사회복지냐를 두고 갈등이 있었지만 농업이 주도적으로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농림부와 복지부의 중간적 가교역할을 하는 곳이 지원센터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 성주신문


인터뷰 판 롬파이 치유농장 농장주 힐더(Hide) 씨

큰 동물보다 작은 동물이 치유에 도움

 벨기에 안트베르푼 주 웨스트말리 지역에 판 롬팜파이(Van Rompaey) 농장은 25년가량 목축업을 해 온 스타니(Stany), 힐더(Hide) 부부가 운영하고 있는 치유농장이다.

 5년 전부터 시작한 치유농장에는 부부의 보살핌 속에 학교부적응 학생과 정신질환, 소외학생(소위 왕따학생) 등이 매주(7일) 3.5일 가량 숙식을 하며 정신적 문제를 치유하고 있다. 5명의 환자들이 1주일 단위로 각각 시간대별로 구분해 머물면서 치유하고 있다. 농장규모는 20ha정도이며 젖소 50두와 말, 토끼 등을 키우고 있다. 다음은 힐더씨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치유농장을 하게 된 계기는?

 나도 한때 어려운 시기를 겪으면서 농장에서 치유를 하는 혜택을 입었다. 이러한 혜택을 나 하나 만에 그치지 않고 다른 이들에게도 나눠주고 싶었다.

-치유농장 운영은?

 치유를 위해 환자들이 행복해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잘 운영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들이 갖는 느낌이 중요한데 '고맙다'는 말을 많이 해준다. 농장에는 위험성이 있는 큰 동물보다는 환자들이 잘 소화할 수 있는 양, 토끼 등 작은 동물들이 치유에 도움이 된다. 큰 동물은 생업과 관계가 있고 자금도 많이 들어 사들이기가 쉽지 않다. 지원센터 관계자나 자원봉사자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치유농장 운영 조건은?

 치유농장 경영조건은 특별한 것이 없지만 사회복지기관과 상호 협조를 얼마나 잘하느냐를 중요시하고 있다.

-환자들의 치유 사례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던 17세 학생이 농장에서 생활하고 나서 새 학기부터 성격도 밝아지고 학업의욕도 좋아졌다는 교사의 이야기도 들었다. 간혹 어떤 학생들은 한번 농장을 보고 오지 않는 사례도 있다.

-환자 치유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은?

 사람들마다 상태가 다르고 여건이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폭행적이고 사고를 자주 치는 사람은 처음부터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큰 문제는 없었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