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필 동 수필가 |
ⓒ 성주신문 |
반세기도 전 이 나라는 눈물 나는 초근목피의 계절도 겪었다. 그랬는데 지금은 국민소득 4만 달러를 향해 간다니 그야말로 금석지감이다.
라면 얘길 하자니 제일 먼저, 서울아시안게임에서 육상 3관왕에 오른 임춘애가 떠오른다. 그 화제가 당시로는 '배고픔의 상징'일 수도 있었다. 그의 신장은 평균치였지만 비교적 깡마른 체구였으니 신문은 칭송하느라 썼겠지만,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헝그리 정신'이라 극찬, 미화의 상징이 된 결과이고 말았다. 한 봉지 값이 10원이었으니 이하는 불문가지다.
시대에 맞춰 '배고픔부터 해결하자'는 박정희 대통령도 '얼큰한 라면' 보급을 독려하는 메시지도 있었다고 오늘의 신문은 지난날을 회상하고 있으니, 생산회사(삼양)는 이 나라 라면 산업의 효시가 될 수 있었다. 반면 20년 넘게 시장을 장악하던 삼양에 날벼락 '우지(牛脂) 파동'의 흑역사도 있었다. 공업용 소기름을 라면 제조에 썼다는 것이다. '배고픔'부터 해결해야 할 때이니 식품에 사용 여부는 따질 새도 없었음이 사실일 것이었다. 당시 상류층은 비난, 불매운동까지 했으며 삼양이 허우적거릴 때, 식품위생검사의 결론은 '이상 없음'이었으며 대법원 판단도 무죄였다.
라면의 흑역사도 있다. 2014년 세월호 사건 현장을 찾은 교육부 장관이 의전용 의자에 앉아 컵라면을 먹다가 면직된 일과, 퇴임한 대통령(문재인)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이 터졌을 때 컵라면과 라면과자 '뿌셔뿌셔'를 먹는 사진을 올렸으므로, 이를 본 유족들이 '지금 라면이 목구멍으로 넘어가느냐'며 '유족 조롱'이라고 격렬 항의했다고 당시의 신문에 났다고 했다. 나도 처음 듣는 얘기였다.
그런가 하면 '흑역사'라고 하기엔 맥락이 맞지 않는, 애틋한 비감(悲感)의 감성을 촉발한 사건도 있었다.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 숨진 19세의 청년 가방에는 컵라면이 들어 있었던 것 말이다. 뿐만이 아닌 백역사도 있다. 아카데미상 4관왕이 된 우리 영화 '기생충'에서 세계적 인지도를 획득한 짜파게티와 너구리(라면)를 섞어 끓인 '짜파구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농심 회사는 조리법을 11개 언어로 시연하기도 했다 한다.
또 다른 백역사는, 노무현 대통령은 주말마다 청와대에서 직접 라면을 끓여 먹었다는 사실 말이다. 지금은 또 수준급 요리 실력이 있다는 윤석열 대통령은 '윤석열 라면'이라 이름 지어 '자기식'으로 라면 요리를 한다는 것이었으며, '석열이형네 밥집'이라는 요리도 있다는 것이다.
라면의 역사는 삼양라면으로 시작됐으며 그 삼양이 곤두박질 칠 때 위기를 기회로 삼은 듯 농심 '안성탕면'과 '신(辛)라면'을 출시하여 잇따라 1위를 탈환하기도 했다. 동시에 겁라면과 사발면 등의 자동판매기도 개발하고, 그 인기의 척도를 가늠하는 성공 신화도 있었으니, 그것은 알프스의 정상급 고지에도 식사대용과 간식용으로 컵라면의 깃발을 꽂은 일이다. 그게 바로 'K푸드'였다. 나도 그때 처음 먹어본 느낌으로 지금도 '삼양'에만 손길이 간다.
지금은 그 라면이 매장의 매대(賣臺)를 꽉 채우고 있어 대충 세어도 제조회사는 30여 군데가 넘어보였다. '배고픔부터 해결하자'는 박정희와 함께 '한강의 기적'이 떠오름을 부인할 수 없다.
역시 우리집 가정사도 떠오른다. 1965년도였다. 내가 갓 제대했을 때 당시 서울에 사시던 형님이 법산 집에 오시면서 50개들이 라면 한 상자를 갖고 오신 것이다. 그때만 해도 사과 포장상자는 20Kg이었을 때이니 내 기억(50개들이)에 오류는 없을 것으로 안다. 모르긴 해도 그때까진 시골에서는 라면이라는 말만 있었을 뿐 실제 먹을 기회는 없었을 때(순전히 내 기억) 그 라면의 값어치는 상당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었다. 지금은 모두 돌아가셨지만 그때 어머니와 큰형수가 시식을 한 후 첫마디 '그 참 희한타!'라며 '이젠 보리밥 안 먹어도 되겠다'라며 흡족해 하시던 기억이 새롭다. 나는 두 분의 얘기를 '식문화의 새 시대(첨단)'라는 뜻으로 의미를 확대, 부여하기도 했다.
라면에 대해선 1970년쯤으로 기억되는 내 개인사도 있다. 결혼 석 달도 채 되지 않았을 때, 대구 번화가인 동성로에서 군용 소형차에 치여 대구 육군병원에 한 달 간 입원한 일이다. 그땐 월남전이 치열할 때였으니 후송된 전상(戰傷)환자로 대형 병실을 꽉 채우고 있었다. 온몸에 붕대를 감은 중상자는 예외로 하고 경상자는 식사 때는 물론 간식 시간이 되면 라면 끓이는 그 냄새가 병실을 진동하기 예사였다. 나는 환자 급식만으로도 충분했지만 그래도 젊었으니 바로 말해 '후루룩!' 그 소리가 내 식욕을 감출 수는 없었다. 그렇게 기분 좋은 냄새는 아니기 때문이었다. 결국 내 코와 입만 고역(?)을 치르게 했다. 환자가 대놓고 별식을 할 수도 없고······.
지금은 그 라면이 대중식이 된 것만은 사실이다. 한참 전 이른바 '꼰대'들이 배고팠던 지난날을 얘기할 때마다 MZ세대들은 '그러면 라면이라도 사먹지···'라는 희화화의 유행어가 됐던 것은 다 아는 얘기다.
오늘의 선진국의 대열에 당당히 선 그 이면의 식료 역사는 한두 가지만 있을까만, 라면 소비가 주식(主食)인 쌀 소비를 위협하기도 했다는 통계와 함께 그 수치로도 두 식량이 비슷할 때도 있었다고 논자들은 증언하고 있다.
그 라면이 환갑을 맞았으니 내 가정사와 함께 나의 라면에 얽힌 얘길하며 옛 기억을 되살려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