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회/문화 사회종합

성주 가야산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 되나

김지인 기자 입력 2023.07.11 09:16 수정 2023.07.11 09:16

케이블카 설치 찬반 입장차
10년 전 반대여론에 무산돼

한동안 잠잠하던 가야산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사업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교차하고 있다.

얼마 전 성주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익봉(대가·수륜·용암면) 의원이 가야산 케이블카 설치사업 재추진을 언급하자 이에 성주군이 동조의 뜻을 나타냈다.

장 의원은 "최근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환경부 허가를 받으면서 전남 구례, 충북 보은, 경남 산청 등 타 지자체에서도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남부내륙철도 성주역 역세권 개발과 엮어 사업을 추진해 지역관광 활성화를 이끌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설악산의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40년간의 찬반 논란을 끝으로 금년 2월 조건부 승인에 따라 연내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인구 3만4천여명의 산청군은 지난 4월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를 위한 TF팀을 구성해 사업추진을 공식화했다.

장 의원의 의견에 대해 성주군 측은 공감을 표하며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내비쳤다.

성주군 관계자는 "역세권 개발과 가야산 신규 탐방로(가천면 법전리~칠불봉) 개설 등과 연계해 추진할 생각"이라며 "과거에도 가야산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한 바 있으므로 기존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2011년 성주군은 케이블카 설치를 의미하는 '가야산 로프웨이 사업'을 추진코자 관련법규를 확인하고 기본구상 용역을 시행한 바 있다.

당시 검토한 구간은 △수륜면 백운리내 가야산역사신화공원~서성재 △가천면 신계리~부박령 △수륜면 백운리~동성봉 △성주호~독용산성 등이다.

접근성과 경제성, 환경영향 등을 살핀 결과 백운리~서성재 구간에 설치하는 안이 가장 유력했으나 반대여론에 부딪혀 사실상 무산됐다.

대구경북녹색연합 등 시민단체는 "케이블카 설치시 상부로 올라온 사람들이 곳곳에 샛길을 만들어 산을 훼손하고 토양침식, 외래종 유입 등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용역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케이블카 사업은 투자원금 150억원 기준 수익적 측면에서 연평균 50만명이 넘게 찾아야 하지만 성주의 경우 예상인원이 25만명에 그친다"며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점에서 성주군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할 명분과 근거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더구나 케이블카 허가권을 쥔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도 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가야산 케이블카 설치사업은 유야무야됐다.

그러나 10여년이 넘는 세월이 흐르면서 시대적 상황이나 사회적 인식 등이 변화하며 가야산 케이블카에 대한 수요가 다시 대두한 가운데 고민해볼 사안으로 여겨진다.

사업 재추진을 찬성하는 배경을 살펴보면 인구 고령화와 젊은층의 등산 기피현상 등에 따른 탐방객 감소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험준한 등산로에 신체·문화적 약자인 장애인과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은 원천적으로 차별받고 있다는 인식이다.

반면에 케이블카 사업이 국립공원의 훼손을 부추기고 생물 다양성 감소를 일으킨다는 반대 입장도 여전하다.

케이블카 설치시 안전상의 이유로 노선 아래 나무를 벌목할 경우 생태 서식지가 파괴되고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국립공원이 개발대상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가야산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를 두고 입장차가 두드러지는 만큼 충분한 논의를 거쳐 공론화해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