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혹명나방의 몸은 담황갈색이다. |
ⓒ 성주신문 |
중국 등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오는 해충인 혹명나방이 자주 관찰되는 가운데 신속한 방제가 중요하다.
혹명나방 유충은 벼 잎을 원통형으로 말아 갉아 먹으며 다량 발생시 쌀의 품질이 떨어지고 알맹이의 무게가 줄어들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9·10월 상순에서 중순경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논에 들어갔을 때 성충이 날아오르거나 유충 피해가 보인다면 즉시 적용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7~10일 간격으로 2~3회 집중 방제하며 희석배수를 준수하고 적용약제 혼용여부를 확인해 약해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신경 써야 한다.
성주군농업기술센터 김명원 소장은 “성주의 경우 벼 병해충 긴급방제 지원사업을 진행해 발생 밀도가 낮은 편이지만 질소비료를 과다 시비한 지역에서는 해충 발견 시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