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주신문 |
그 중 도쿄 도시마구는 2030여성 감소 규모가 50.8%로 추산돼 2014년 '소멸가능성 있는 도시'로의 위기가 닥쳤으나 10년 뒤 2024년 분석에서는 2.8%로 대폭 축소됐다.
현재 도시마구 인구는 29만1천600여명으로 젊은여성 인구 수가 크게 증가한 가운데 소멸 위기를 기회로 만든 도시마구의 비결에는 '여성 친화' 정책이 꼽히고 있다.
여성들이 살기 편한 도시를 만들어야 안심하고 아이와 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 도시마구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할 수 있는 회의와 이들로 구성된 긴급대책본부 'F1(Female One)을 만들어 해법을 찾아나가기 시작했다. 【편집자 주】
2014년 일본창성회의가 발표한 마스다보고서는 출생률이 최소 유지 수준인 2.07%로 회복되지 않으면 일본 총 인구는 감소하고 지방은 소멸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내용을 보여주었다.
당시 일본의 인구감소 추세대로라면 2040년까지 일본의 절반인 896개 지자체가 사라진다는 경고를 담고 있어 지방소멸 위험성을 보여줬다.
인구유입·유출 등 다른 변수의 작용이 없는 한 30년 뒤 마을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 하에 일본은 '소멸가능성 있는 도시' 896곳을 지정했다.
도시마구의 이케부쿠로역은 5개의 지하철 노선이 지나 연간 이용객이 270만명에 이르는 곳으로 신주쿠와 시부야에 이어 이용객이 많은 곳이나 도쿄 23개구 가운데 유일하게 소멸가능성 있는 도시에 포함된다.
이런 불명예를 안게 된 이유는 20~39세 여성인구의 급감 가능성으로 2010년 5만136명인 도시마구의 20~39세 여성인구가 2040년 2만4천666명으로 50.8% 급감할 것으로 내다본 것.
도시마구는 이를 심각한 위기로 받아들이고 곧장 20~30대 여성중심의 회의를 개최해 이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한 '여성친화적 마을 만들기', '지방과의 공생', '국제예술·문화도시 구축', '고령화대응'이라는 4가지 방침을 중심으로 인구소멸대응과 지역활성화를 추진했다.
이케부쿠로역에서 걸어서 5분 거리에 위치한 '미나미이케부쿠로공원'은 녹음이 무성하게 우거지고 음습한 지역으로 노숙자가 많고 주말이면 무료급식소가 세워지던 곳이며 강력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해 여성들이 두려워하는 장소로 유명했다.
미나미이케부쿠로 공원의 한쪽은 신사, 한쪽은 유흥가 등 각 방향마다 다른 특색을 지닌 지역으로 이어져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어려웠지만 수 십차례의 설명회를 거치며 의견을 조율했다.
노숙자들과 지원단체의 반발로 비판적인 방송과 기사도 많았지만 다른 작은 공원과 복지시설로의 입소 권유를 통해 마찰을 줄여갔다.
이후 리모델링을 위해 공원을 폐쇄한 뒤 잔디공원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 충당을 위해 잔디공원 아래 변전소를 만들었다.
또한 브라이언파크를 본 따 공원내 카페와 레스토랑 등을 활용한 수익시설을 유치하는등 공원시설을 통한 수익금을 공원 유지관리 재원으로 활용했다.
이전까지 일본에서 금지되었던 공원 내 카페와 레스토랑의 오픈은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지역 소멸위기에서 벗어나
공원 중심의 지속가능도시 실현
ⓒ 성주신문 |
공원 리모델링으로 인구 흐름을 바꾼 도시마구는 4개 공원을 특성화하며 연계해 즐길 수 있도록 폭을 넓혔다.
빨간색 전기버스 IKEBUS가 미나미이케부쿠로 공원, 나카이케부쿠로 공원, 이케부쿠로 니시구치공원, 이케 선파크를 순환하며 시민과 관광객들의 또다른 이동수단이 됐다.
ⓒ 성주신문 |
2019년 9월에 오픈한 나카이케부쿠로 공원도 만화·애니메이션 성지로 주변 기업과 연계해 애니메이션, 코스프레 이벤트 등을 전개한다.
2019년 11월에 오픈한 이케부쿠로 니시구치 공원의 경우 클래식 연주 등이 가능한 야외극장으로 도쿄예술극장 등과 연계하여 이벤트를 펼치고 있다.
마지막 2020년 7월에 오픈한 이케선파크는 온갖 방재 기능을 가진 도시마구의 최대 면적의 공원으로 다양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도시마구엔 4개의 메인 공원 외 수 많은 공원이 곳곳에 있고 여성과 어머니들이 목소리를 낸 공공화장실 프로젝트를 통해 누구나 안심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로 개선 시켰다.
그 결과 2014년 도시마구의 20~39세 여성인구는 4만5천여명이었으나 4년 후 자그마치 3천명이 증가한 성과를 거두는 등 일본 최초로 미래도시모델로 선정되는 겹경사를 이루기도 했다.
ⓒ 성주신문 |
10년이 지난 현재 도시마구는 소멸 가능 지역이라는 오명을 완전히 벗었으며 인구 추계상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자체에서도 도시마구는 빠졌다.
도시마구는 떠난 사람보다 남은 사람에게 집중하며 인구유출 문제를 직면한 가운데 젊은 세대의 목소리를 듣고 이들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로 아이를 키우기 위해 더 좋은 곳을 찾아 가는 것임을 빠르게 파악했다.
떠나는 젊은이들을 붙잡아 물질적인 정책을 남발하지 않고 남은 이들이 만족하고 오래오래 살 수 있도록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고민했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현 시대에 지원금만 올리며 전입경쟁을 내세우는 것보다 정주율을 높이는 전략을 짜는 것도 필요하다.
청년이 우리 지역에 오래 머무르게 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직접 물어보는 것은 어떨까?
공동취재단(성주신문 이지선 기자, 홍주신문 한기원 기자, 담양곡성타임스 김고은 기자, 영주시민신문 오공환 기자, 한산신문 박초여름 기자, 태안신문 신문웅 기자, 보은사람들 송진선 기자, 담양뉴스 장광호 기자, 남해시대 전병권 기자, 해남신문 노영수 기자 등 10개 지역신문사)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