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전개되면서 지역사회에서도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2026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목표로 하는 행정통합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자치권 강화를 두고 찬반여론이 맞서고 있다.
최근 양 지역의 시·도민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여론조사에서는 경북도민 62.8%, 대구시민 68.5%가 행정통합에 찬성의사를 밝혔다.
이중 성주가 포함된 경북 남부권에서는 69.3%의 찬성률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행정통합을 찬성하는 이유로는 경북도민 전체 응답자 중 50.1%가 '지역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택했으며 이어 '낙후지역 균형발전(22.1%)'과 '의료 등 복지서비스 향상(10.9%)'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론조사는 일부 응답자의 결과를 나타내는 만큼 지역민 전체의견을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의견수렴 및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이번 행정통합은 대구경북이 처한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저출생 및 고령화, 수도권 집중화, 지방소멸 등을 극복하고 완전한 자치권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행정통합특별법(안)에 재정과 자치권 강화를 명시한 가운데 행정의 효율성을 높여 지역민의 불편을 줄이고 기업지원을 통해 일자리를 늘려 정주여건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특히 성주는 행정통합의 주요 기대지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대구와 가까운 지리적 특성상 광역경제 인프라와 연계되면 성주참외를 포함한 농산물유통 활성화를 기대해볼만 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성주와 군위를 잇는 고속도로 신설 등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해 접근성이 향상되며 주민생활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최근 성주군사회단체협의회와 읍·면이장협의회 등 관변단체들이 행정통합을 지지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주민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통합을 두고 여전히 온·오프라인상에서는 지역소외와 재정분배의 불균형을 우려하는 반대의 목소리도 적잖다.
거대도시인 대구중심의 행정체계가 구축되면 성주를 비롯한 농촌지역이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다.
성주군민 A씨는 페이스북을 통해 "행정통합 시 지방교부세 등의 재정적 지원이 비교적 인구가 많은 대구나 주요도시로 집중될 가능성이 커 농촌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독립적인 재정 운용권이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경북도의회 권광택 행정보건복지위원장은 칼럼을 통해 "도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채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고 있는데 오히려 경북의 역사와 전통을 부정함으로써 소멸을 가속하는 악수가 될 소지가 크다"며 "행정통합만이 지방소멸과 수도권 집중화를 막는 유일한 해법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교육격차 심화와 소규모학교가 많은 농촌지역에서의 학교 통폐합 문제도 주요 우려사항으로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지방의회의 동의가 필수인 가운데 지난 3일 대구시의회는 안건을 의결해 오는 16일 본회의에 상정되는 반면, 경북도의 경우 도의회에 동의안 상정여부조차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경북도 안팎에서는 올해 안에 상정은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안동·영주·예천시 등이 포함된 북부권이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데다 최근 불거진 비상계엄 후폭풍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행정통합은 중앙정부의 권한을 대폭 넘겨받는 구조로 국회에서 특별법이 통과돼야 가능한데 대통령 탄핵사안 등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혼란스러운 정국에 당분간은 논의가 어려워 보인다.
성주군이 통합과정에서 어떤 역할과 위치를 점할지 주목받고 있는 만큼 이번 통합이 가져올 기회 또는 한계를 면밀히 분석해 지역여론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