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지역의 숙원사업인 '통합 바이오 에너지화시설' 설치사업이 시공사 선정과 함께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면서 친환경 도시 조성의 전환점이 될지 주목받고 있다.
경북 성주군 성주읍 삼산리 538-1 일원에 들어설 예정인 통합 바이오 에너지화시설은 가축·일반분뇨,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을 통합 처리해 바이오가스, 퇴·액비 등의 자원으로 전환하는 환경기초시설이다.
민선7기부터 8기까지 이어진 이병환 성주군수의 환경분야 공약 중 하나로 성주군청 누리집에 공시된 이행률은 올해 2월초 기준 57%에 도달한 상태다.
최근 60년 경력의 중견건설사 경일건설㈜이 시설 시공을 맡으면서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조성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027년까지 482억8천여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하루 150톤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한다.
특히 하루 최대 약 90톤 규모의 용량을 처리하는 기존 공공처리시설이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고 축산농가 등의 무단방류로 인한 낙동강 수질오염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보다 체계적인 처리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성주지역의 가축분뇨 배출시설 점검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10건, 2020년 5건, 2021년 상반기 기준 8건의 무단방류 및 수질오염 사례가 적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서 신규 에너지화시설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현실적 대안이 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전력과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지역 내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시공사에 따르면 처리설비 외에도 주민친화형 부대시설을 포함할 것으로 알려져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개선과 수용성 제고를 기대해볼만 하다.
하지만 인근 마을주민들이 여전히 설치에 반대하고 있어 사업추진에는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된다.
사업부지와 마을 간 최단거리가 700m에 불과해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악취와 소음, 교통문제 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경북 성주군 성주읍 삼산리 주민 A씨는 "지금도 깜깜한 밤이면 폐기물처리장에서 풍기는 매캐한 냄새가 온 마을에 퍼져 견디기 힘들다"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는 이천 너머 성주읍 백전리 아파트단지까지 냄새가 난다는 말이 들린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처리용량이 일 150톤 규모로 늘며 인근 고령·칠곡군 등에서 나온 가축부산물까지 반입해 처리할 것이라는 소문에 굳이 타 지역의 폐기물까지 수용해야 하느냐는 불만이 상당하다.
사업시행에 앞서 4년 전, 대구지방환경청과 대학교수 등 전문가들이 동석한 환경영향평가 공청회가 열렸지만 형식적 수준에 머물렀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노력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당초 260톤으로 계획했던 시설 처리용량이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150톤으로 축소됐다는 점 역시 갈등의 배경을 방증한다.
현재 마을 차원에서는 시설공사를 지속할 경우 민원제기에 이어 이장을 중심으로 반대집회를 여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상황으로 전해졌다.
한편, 사업을 담당하는 성주군자원순환사업소의 배재억 소장은 지난 2월 열린 제288회 성주군의회 본회의에서 "주변지역의 반대가 있지만 민원도 해결하면서 사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친환경 도시 구현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통합 바이오 에너지화시설이지만 기술적·환경적 완성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주민들의 이해와 공감이다.
주민들과의 인식차가 좁혀지지 않는다면 향후 공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갈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