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생산 기능만을 담당했던 농업 농촌이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기존의 생산기능에 더해 각종 체험과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도시 소비자를 농촌으로 끌어 들이고 있는 것이다. 체험과 관광을 위해 농촌을 찾는 도시 소비자들은 머무는 동안 숙식은 물론 농산물을 구매함으로써 농촌의 새로운 소득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의 농촌지역 지자체는 농어촌 체험마을과 경관농업, 그린투어리즘 등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 소비자의 발길을 이끌고자 새로운 농촌 가꾸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경북지역 4개사(성주신문, 경주신문, 경산신문, 영주시민신문)는 국내외 사례에 대한 취재를 통해 아름다운 농촌 경관을 가꾸고 농민들의 소득도 보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1회 성주지역 경관농업과 농업문화 자산
▷2회 사람을 불러모으는 경관농업
(고창군의 청보리 농장)
▶3회 지역경제를 살린 경관농업
(춘천시와 평창 봉평 메밀꽃단지)
▷4회 마을을 살린 경관농업과 농업문화자산
(경남 남해 다랭이마을, 하동 꽃천지마을)
▷5회 농업선진국 네덜란드의 경관농업
▷6회 농부의 삶과 닮아 있는 독일의 경관농업
▷7회 아름다운 농촌, 경관농업의 가치를 주목하라
강원도 춘천시와 평창군은 경관작물인 '메밀꽃'을 '막국수'와 '이효석문화축제' 테마로 잡고 있다. 춘천시는 메밀을 심어 꽃피는 6월과 막국수축제가 열리는 8월에 메밀꽃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으로 유명한 평창군도 봉평면 일대 25만평에 메밀을 심어 9월 이효석 문화축제에 꽃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관농업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소개되는 곳이다.
| |
|
↑↑ 평창 봉평 메밀꽃밭은 9월에 개최되는 '이효석문화축제'의 명소로 자리매김하며, 연간 300만명이 찾고 있다. |
ⓒ 성주신문 |
▣ 막국수의 고장 춘천, 메밀꽃 단지 조성 이유는
춘천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바로 '닭갈비'와 '막국수'다. 이 중 막국수는 화전민들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을 심어 국수를 만들어 먹은 데서 유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민음식이다.
막국수의 시초는 화전민들이 끼니를 때우려고 '마구' 뽑은 거친 국수였다. '금방 막 눌러 바로 먹는다'고 해 막국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과거 춘천 지방 에서는 특별한 손님이 오면 맷돌에 메밀을 갈아 국수를 뽑아 대접했는데 한국전쟁 이후 생활고를 해결하려고 국수를 만들어 팔던 게 대중화의 시초라고 한다.
이처럼 막국수가 춘천 지역경제에 효자 노릇을 하고 있는 가운데 메밀꽃을 활용한 경관농업도 이를 크게 뒷받침하고 있다. 춘천시는 3년 전부터 자체 예산 1억원을 들여 춘천지역 대표 먹거리 막국수의 주 원료인 메밀을 활용한 경관용 메밀단지를 서면 신매리 741번지 일원에 7㏊ 가량 조성해 춘천막국수를 홍보하고 지역 관광명소로 활용하고 있다. 상하반기로 두 차례에 나눠 뿌려지는 메밀 씨앗은 6월과 9월에 꽃이 만개해 막국수를 전국에 알리는 홍보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것이다.
시는 이곳에 주차장과 원두막(3동), 포토존(장승, 솟대, 바람개비, 허수아비), 간이화장실 등을 갖춰 관광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곳에서 수확하는 메밀씨앗은 따로 판매하지 않고 다음 해에 종자로 활용하고 있다.
춘천시청 관광정책과 서재호 주무관은 "서울 등 수도권과 철도나 고속도로를 이용한 접근성이 좋아져 가족과 연인 단위 방문객은 물론 유치원생 등의 단체 현장체험학습이 줄을 잇고 있다"며 "주중에는 500여명, 주말엔 1천여명의 관광객이 메밀 꽃밭을 찾아오고 있다"고 말했다.
▣ 메밀꽃 필 무렵 '관광객은 즐겁다'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은 '메밀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라고 노래한 이효석 선생의 '메밀꽃 필 무렵'이 탄생한 곳이다.
소설 속 배경인 봉평에서는 매년 메밀꽃이 피기 시작하는 9월이면 소설가 이효석을 기리기 위한 축제인 '효석문화제'가 열린다. 1999년부터 시작된 문화제는 올해 20회 째로 백일장, 시화전, 문학의 밤, 전통 메밀 음식 만들기, 소설 속 메밀꽃밭 둘러보기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 2014년부터 4년 연속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축제로 선정됐고 올해 최우수 축제로 한단계 업그레이드됐다.
'효석문화제'가 더욱 의미있는 이유는 메밀꽃 재배와 축제 준비를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열정으로 준비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지역, 문학, 전통 이 세가지의 만남이 효석문화제만의 분위기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특히 소설 속 허 생원이 돼 볼 수 있도록 마을 곳곳과 산비탈 이곳저곳에 조성한 메밀밭에 오솔길을 내고 나귀를 매어 두어 '메밀꽃 필 무렵'의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축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기반으로 동반 성장하는 세계축제를 지향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봉평의 메밀밭은 전국의 여느 메밀꽃과는 다른 차별성으로 인해 연간 300만명 이상이 찾는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9일간의 축제기간에만 50만명이 찾고 있다고 한다.
각계각층 인사 130여명으로 구성된 '이효석문학선양회'는 그의 생가를 복원하고 문학적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고장의 문화적 토양 위에 메밀꽃밭의 아름다운 경관을 더해 봉평만의 특색있는 축제인 지금의 '효석문화제'를 만들어 냈다.
경관작물인 메밀꽃 재배는 처음 2만여평에 불과했지만 지금 현재 25만평이 넘는다. 이효석문학선양회에서 5개 메밀 작목반을 관리하고 거름이나 로타리 작업도 직접 해주고 있다. 9월이 되면 봉평은 그야말로 메밀꽃 천지다.
이효석문학선양회 김성기 본부장은 "1990년에 시작된 문화마을 사업은 물레방아 등을 설치했지만 특별한 볼거리가 없었다"며 "97년부터 메밀꽃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나와 본격적으로 메밀밭을 조성했다"고 말했다.
현재 봉평은 봉평면 창동리 일대 2만6천418㎡에 2015년부터 100억원을 들여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과 소설 속 등장인물을 재현한 4계절 테마 관광지 '효석달빛언덕' 공사 마무리가 한창이다. 주요 건물을 낮고 넓직하게 설계해 지붕위에도 메밀을 식재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메밀경관과 이효석의 문학, 그리고 주민들의 열정이 합쳐져 새로운 관광에너지를 계속 만들어 내고 있는 국내 경관농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을 받는 이유다.
연합취재팀
성주 / 최성고 기자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습니다.
|
|
|
ⓒ 성주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