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정치/행정 행정

성주군, 지방소멸 위험단계 진입

김지인 기자 입력 2019.11.25 17:12 수정 2019.11.25 05:12

↑↑ [표] 성주군 총인구수 변화추이(2000~2018년, 통계청 KOSIS 주민등록인구현황)
ⓒ 성주신문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경상북도의 지방소멸지수가 0.5를 기록해 올해 말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될 전망이다.

지방소멸지수는 20~39세 가임기 여성 인구수를 65세 노인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이 지수가 0.5미만으로 떨어질시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도내 23개 시군 중 구미, 경산, 칠곡, 포항 4개 시군을 제외하고 모두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조사결과 성주의 지방소멸지수는 0.237로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했다.

또한 지난 2015년부터 올해 9월까지 약 2만5천명이 경북을 떠났으며, 2016년부터는 사망자수가 출생아수를 앞질렀다.

작년 합계출산율은 1.17명으로 전국 평균 0.98명보다는 높으나 인구규모를 유지하는 대체출산율인 2.1명의 절반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성주의 합계출산율은 1.54명으로 도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002년 성주군은 총인구수 5만1천761명을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10년 전인 2008년 4만5천24명에 이어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466명이 줄어든 4만4천672명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일 경북은 전남과 함께 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지방소멸 위험에 대한 방안을 논의했다.

토론회는 박종철 목포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각 지역별 인구정책 연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과 법률안 포함내용에 대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날 토론회에서 도출된 의견을 토대로 오는 2020년 경북은 전남과 공동으로 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안을 마련하고 순회 토론회, 국회 세미나 등을 진행해 전 국민의 관심을 이끌어 법률 제정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한편 성주군은 인구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내 직장·내 고장 주소갖기 운동, 청춘남녀 커플매칭 사업, 출산·양육비 지원, 옐로파파 프로그램 등 생애주기별 다양한 인구증가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개선 및 경제적 지원 시책을 선제적으로 안내하고, 남부내륙철도 성주역 유치와 3차 일반산단 조성, 시가지 도지재생 뉴딜사업 등 주거·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