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기획연재 기획취재

성주 물길을 따라 '생태공원'의 가치 찾기 ① / '생태공원' 자연보전과 주민행복의 균형을 위해

김지인 기자 입력 2024.09.03 09:34 수정 2024.09.03 09:34

생태계 보존·유지 역할 및
관광객 유치로 부가가치 창출

↑↑ 성주읍 이천
ⓒ 성주신문

생태공원은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고 지역민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그에 따른 필요성과 가치가 강조된다. 현재 성주지역 곳곳에서 생태공원 조성사업이 추진되는 가운데 본지는 사업목적과 설계방안 등을 분석하고 아울러 타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시코자 한다. 【편집자 주】



▶1회 생태공원의 중요성 및 역할
▷2회 이천 친환경 조성사업
▷3회 성주호 생태둔치공원 조성사업
▷4회 인촌지 생태공원 조성사업
▷5회 우수사례 -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6회 우수사례 - 칠곡보생태공원


생태공원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간이다.

도시화로 훼손된 자연 생태계를 복원 및 보호하는 동시에 주민들에게 휴식과 교육, 오락의 기능을 제공한다.

최초의 생태공원은 1977년 영국 런던 템즈강변 타워브리지 인근에 위치한 2에이커(약 2천450평) 규모의 'The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윌리엄 커티스 생태공원)'를 가리킨다.

생태공원은 점차 독일, 네덜란드 등으로 확산됐으며 각국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 생태공원 및 생태적 조경기법이 알려진 후 1993년 서울시의 '난지도 생태공원' 계획이 발표되며 관심을 모았다.


↑↑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 성주신문

이어 1997년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이 조성돼 주목을 받으면서 각 지자체 등을 통해 자연보호 바탕의 공원체계가 빠르게 자리 잡았다.

기존의 공원과 비교해 생태공원은 자연적 요소와 각종 인적·물적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적인 기능이 강조된다.

첫째, 자연 생태계 보존 및 유지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공원 설계과정에서 인공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제공해 생태 다양성을 유지하며 야생생물 서식지를 보호하는 등 건강한 지역 생태계를 구축한다.

둘째,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교육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생태공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연탐구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의식을 함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

셋째, 생태공원은 휴식과 오락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주민 삶의 질을 향상한다.

산책과 운동, 자전거 타기, 소풍 등 자연 속 다양한 야외활동을 통해 재충전할 기회를 제공하며 건강한 삶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밖에 생태공원은 학자 등 전문가에게 지역 생태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보존정책을 개발하고 지역 자연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주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하는 다목적 생태공원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발맞춰 성주군도 이천과 성주호, 인촌저수지 등 지역 내 수계(水系)를 따라 생태공원을 조성한다.

앞서 이병환 성주군수는 "휴식과 문화, 레저를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생태공원을 육성해 지역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 관광객 유치를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성주지역의 생태공원 조성사업은 환경보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목표를 추구하는 가운데 타 지자체의 사례도 눈여겨볼만 하다.

국내 최초 생태공원인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샛강생태공원은 63빌딩부터 국회의사당 뒤편까지 면적이 75만8천㎡(약 229평)에 달한다.

수변을 따라 버드나무가 5km 가까이 길게 늘어져 있으며 공원 내 흙길에는 산책에 나선 주민들로 활기가 넘친다.

지난 2005년부터 공원을 중심으로 생태해설, 자연관찰, 자연놀이 등의 학습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

관리주체인 한강사업본부 관계자는 "자연을 해치지 않기 위해 공원 내 벤치와 매점, 가로등을 설치하지 않았다"며 "덕분에 멸종위기 관심대상인 두꺼비 개체가 확인된 바 있고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 등이 터를 잡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자연보전과 도시생활이 조화를 이룬 대표적인 모델로, 이러한 성공요인을 분석해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코자 한다.

이에 본지는 총 6회에 걸쳐 성주지역 생태공원 조성사업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지역민의 관심을 유도해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발전모델 구축 및 육성을 기대해 본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