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회/문화 사회종합

신성한 전인교육의 도장으로

이채근 기자 입력 2007.05.14 14:05 수정 2007.05.14 02:08

사설

사설

신성한 전인교육의 도장으로

사교육을 학교(공교육) 안으로 흡수함으로써 학부모의 과중한 사교육비를 경감시키고, 또 저소득층 자녀들에게도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 교육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취지에서 출발한 ‘방과후 학교’가 시행 1년을 맞았다.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통한 자율적 운영, 학교와 인근지역의 시설과 인적자원의 활용, 우수한 강사진을 확보해 양질의 교육서비스 제공 등 추진계획으로 봤을 때 장점이 참 많아 보인다. 그러나 막상 이를 일선 현장에서 시행해 본 결과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학교라는 특수집단의 성격상 자율적인 운영이라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일부 학교의 경우 학부모를 학교로 소집해 방과 후 학교에 등록할 것을 은근히 강요하는 경우도 확인되었다. 수익자 부담원칙으로 인해 부모가 짊어져야할 교육비 부담이 새로 하나 더 늘어난 결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 인적자원의 활용의 경우도 결국 일선교사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균등한 교육기회를 오히려 가로막는 현상도 나타난다. 금년 전반기 방과 후 학교의 경우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제공한 자유수강권이 지원대상자 1천500여명 가운데 600여명만 지원 받은 것으로 밝혀져 기초생활수급자의 자녀를 비롯한 저소득층 자녀들의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에 대한 계획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농어촌지역 학생들의 경우 방과 후 학교를 통해 부족한 학습을 도움 받거나 예체능교육을 받고 싶어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일정한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아예 강좌개설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우수한 강사진 확보는 처음부터 무리한 계획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일선 농어촌지역 교사들은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지원되는 자유수강권 지원보다는 실력 있는 강사진을 지원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지원책이라고 말한다. 방과 후 학교가 실효성은 없으면서 학부모와 일선교사들에게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공교육의 탈을 쓴 또 하나의 새로운 사교육이 될 수도 있음을 지나쳐서는 안 된다.

학교가 입시학원이나 사교육장을 전락할 게 아니라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신성한 전인교육의 도장으로 거듭나야한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