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회/문화 사회종합

불 꺼진 신호등에 보행자는 불안하다

홍하은 기자 입력 2016.04.26 09:14 수정 2016.04.26 09:14

지난해 보행자 사망사고 3명
郡·署, 교통흐름은 매년 변화

관내 도로를 이용하다보면 불 꺼진 신호등을 자주 접할 수 있다. 가령 경산사거리에서 시외버스터미널 방면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등(황색점멸신호등)이 이에 해당된다. 도로가 협소해 보행자 신호등이 없어도 건널 수 있는 횡단보도이지만 경산사거리는 장기주차 차량 및 불법주정차 차량, 통행차량이 뒤엉켜 보행자가 눈치껏 건너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해당 횡단보도는 인근에 초등학교와 상가 및 전통시장이 위치하고 있어 초등학생들이나 시장 이용객인 어르신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어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학부모 A(성주읍)씨는 "아이들이 횡단보도 건널 때 신호등이 없어 불안하다. 혹 건너다 사고날까봐 늘 조마조마하다"며 불안한 심정을 표현했다. 또한 A씨는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있는데도 꺼져 있어 신호등이 없는 것과 같은데 아이들이 차를 안보고 무조건 앞만 보고 건넌다. 신호등이 있으면 그런 걱정은 좀 덜 수 있을텐데"라고 말했다.
 
성주경찰서 앞 횡단보도도 같은 실정이다. 성주경찰서 앞 횡단보도는 길이도 길어 보행자가 길을 건너다 통행차량으로 인해 중앙선에서 정차해야 되는 경우도 있다. 걸음이 느린 어르신의 경우 건너기 더 위험하다.
 
신호등은 도로에서 출발과 정지를 결정한다. 신호등은 운전자와 보행자가 도로를 이용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교통시설물이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신호등은 도로에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한다고 밝혔다.
 
관내에 설치된 신호등은 총 41개이다. 그러나 실제 운영되는 신호등은 19개뿐이다. 교통흐름의 원활, 보행자 수요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설치된 신호등들은 점멸신호체계로 바꿨거나 '먹통'인 상태이다.
 
이에 경찰 관계자는 "신호등을 운영하게 되면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된다. 읍내의 경우 도로는 협소한데 차들이 신호등으로 인해 정차하면 오히려 교통혼잡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신호등을 운영 안하는 것이 교통흐름에 더 좋은 경우에는 신호등을 꺼놓는다"고 말했다.
 
이는 곧 신호등이 필요 없는 곳임에도 무작정 설치한 것은 결국 국가기관이 혈세를 낭비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신호등은 도로 설계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비쳤다. 경찰관계자는 "도로를 건설할 때 신호등을 확보해야 한다. 신호등은 초기에 설치해놓지 않으면 나중에 따로 예산을 잡아 설치해야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교통이라는 것은 매년 달라지는 것이므로 도로건설시 신호등을 확보해놓아야 나중을 위해서라도 좋다"고 전했다.
 
즉 초기 도로 건설시 신호등을 확보하지 않으면 필요할 때 예산을 확보해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신호등 설치에 있어서는 경찰서는 심의권만 가지고 있다"며 "이원화된 설치 및 관리체계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신호등 설치 및 관리를 담당하는 군 관계자는 "경찰이 교통흐름을 잘 알고 있어 신호등 관리 및 운영을 경찰에게 맡기고 의논하고 있는 실정이다"며 "교통이라는 것이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100% 만족시키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군과 경찰서간 관리 및 운영체계도 애매한 실정이다.
 
한편 성주군의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19명 중 3명은 보행자 교통사고이다. 올 1월부터 현재까지 접수된 165건의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는 5건이다. 교통의 원활함과 더불어 교통약자인 보행자의 불안함도 덜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성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